장선영
사진출처=freepik
[한국AI콘텐츠신문 장선영 기자]
ChatGPT 개발사 오픈AI가 'AI 기반 대학'이라는 야심찬 구상을 내놓았다. AI 캠퍼스(AI Campus)를 통해 GPT 에듀를 앞세운 평생 동반형 대학 교육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와 같은 AI 기반 고등교육 모델은 최근 미국 대학가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올해 캘리포니아의 한 AI 기반 대학에서는 4만여 명의 학생에게 챗GPT를 학습 도구로 제공하고 있으며, 대형 AI 기업들의 협업과 지원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AI 캠퍼스는 온라인에서 AI 조교가 학습을 지원하고, 실험 설계와 진로 상담까지 AI가 참여하는 구조를 도입한다. AI가 기존 교직원 및 교수진과 협업하는 방식으로 학습 환경을 혁신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고등교육 시장의 경쟁 구도를 바꿀 수 있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AI 캠퍼스 관련 보도에서 "높은 효율성과 맞춤형 학습 지원이 가능해질 것"이라며 변화 가능성에 주목했다. 그러나 일부 학생과 교수진은 대학의 AI 활용 확대가 깊이 있는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타내고 있다.
실제 사례도 이어지고 있다. 텍사스대학의 한 교수는 "수업에서 챗봇을 활용한 사례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고 전했다. 학생들이 AI 도구를 통해 문제 해결의 정답을 빠르게 찾으려는 경향이 강해졌다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대학 교육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교수들은 AI 도구 사용이 학습 동기를 높일 수 있는 한편, 사고력과 창의성 함양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스탠퍼드대 심리학 교수는 "AI가 학습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도 있지만, 회의적 태도와 냉소적 학습 태도도 강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AI 기반 대학 모델과 챗봇 도입은 앞으로 고등교육 환경에 지속적인 변화를 가져올 전망이다. AI 기술과 인간 고유의 사고 역량을 어떻게 조화롭게 발전시킬 것인지가 향후 교육계의 주요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