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미라 기자
10월 15일 서울 광화문 교보빌딩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대회의실에서 열린 ‘산업 전반의 AX 정책 협력 업무협약 체결식’에서 관계부처 장·차관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AI콘텐츠신문 김미라 기자]
대한민국 산업이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한 ‘AI 대전환(AX·AI Transformation)’ 시대를 본격적으로 맞이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가 손을 맞잡고 제조·산업 전반의 AI 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범부처 협력체계를 출범시켰다.
세 부처는 10월 15일 서울 종로구 교보빌딩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대회의실에서 ‘산업 전반의 AX 정책 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산업 현장에 AI 기술을 체계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공동 추진 전략을 발표했다. 이날 행사에는 배경훈 부총리 겸 과기정통부 장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임문영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부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정부는 이번 협약을 통해 ▲AI 기반 제조혁신 가속화 ▲핵심 기술 내재화 ▲AI 벤처·스타트업 성장 지원 ▲중소·소상공인 현장 AX 기술개발 ▲지역 산업군 중심의 AI 생태계 구축 ▲AI 국정과제의 체계적 이행 등 6대 핵심 협력 분야를 중심으로 산업 전반의 AI 전환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세 부처는 각 기관이 보유한 전문성과 정책 기능을 연계해 연구개발(R&D)–산업 적용–중소기업 확산으로 이어지는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또한 산·학·연 전문가 네트워크를 통해 산업별 맞춤형 AX 모델을 개발하고, AI 기술 교류회와 실증 프로젝트를 정례화해 현장 중심의 혁신 생태계를 조성할 방침이다.
배경훈 부총리는 협약식에서 “AI 대전환은 단순한 기술 혁신이 아니라 국가의 생존전략이자 미래 번영의 핵심 관문”이라며 “대한민국이 보유한 제조 DNA에 AI 기술력을 결합해 새로운 산업 경쟁력을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과기정통부는 AI 인프라와 기본 역량을 확충하고 산업 전반의 AX 확산 속도를 높이기 위해 부처 간 협업을 강화할 것”이라며 “이번 협약이 AI 스타트업과 산업계가 함께 글로벌 신시장을 여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AI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산업 생존의 필수 조건”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인구감소와 생산성 정체, 글로벌 경쟁 심화 속에서 AI를 기반으로 제조업 혁신을 이뤄내야 한다”며 “산업부는 AI 기술을 제조·에너지·소재 등 산업현장과 긴밀히 결합해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생산 체계를 확립하겠다”고 밝혔다.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AI 대전환 시대에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은 AI를 활용하지 않으면 생존하기 어렵다”며 “정부와 대기업의 AI 역량을 벤처와 중소기업에 개방해, 혁신기업에는 성장의 기회를, 소상공인에는 지속 가능한 경쟁력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임문영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부위원장은 “AI는 기업의 체질 자체를 바꾸는 핵심 기술”이라며, “제조·에너지·물류 등 산업별 전문성과 AI 기술을 융합해 우리나라가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제조TF를 구성, 집중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협약은 AI 기술의 연구개발부터 산업 현장 적용까지 부처 간 유기적 협업체계를 구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과기정통부는 AI 원천 기술 확보와 인재 양성을, 산업부는 산업군별 AI 적용 모델 구축을, 중기부는 중소·벤처기업 대상 AX 역량 강화를 각각 맡아 AI 전환의 ‘국가 원팀 전략’을 실행한다.
정부는 향후 ▲AI 기술 공동개발 프로젝트 ▲산업 데이터 기반 통합 플랫폼 구축 ▲AI 인력양성 거버넌스 강화 ▲AI 윤리·보안 가이드라인 공동 수립 등을 추진해 산업 현장의 AI 내재화(AI Internalization)를 가속화할 계획이다.
또한 지역 산업 중심의 AI 혁신 허브를 확대하고, 제조 현장의 AI 컨설팅과 기술 실증사업을 강화해 지역 간 디지털 격차를 해소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이를 통해 대기업뿐 아니라 중소기업·소상공인까지 포괄하는 AI 산업 생태계의 선순환 구조를 확립하겠다는 구상이다.
배경훈 부총리는 “AI는 산업 구조를 근본적으로 재편하는 거대한 전환의 파도”라며 “정부가 하나의 팀으로 움직여야만 AI 강국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협약이 대한민국의 산업 전환을 가속화하고, 세계가 주목하는 ‘AI 제조혁신 국가’로 도약하는 기폭제가 될 것”이라며 “AI 기술이 산업의 DNA에 스며드는 그날까지 정부가 함께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협약은 정부가 추진하는 ‘K-AX 프로젝트’의 첫 공식 협력모델로, 기술개발과 산업혁신, 인재양성이 결합된 AI-산업 융합의 국가 전략 모델로 평가된다. 정부는 이번 협약을 기점으로 산업계와 긴밀히 협력해 제조업, 서비스업, 에너지, 물류 등 전 산업 분야의 AI 전환(AI Transformation)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