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미라 기자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심홍순 부위원장(국민의힘, 대화동·일산3동·주엽1·2동)이 10월 23일 열린 ‘경기 AI 캠퍼스 북부 개소식’에서 축사를 통해 “AI 인재 양성은 미래 산업 경쟁력의 핵심”이라며 청년 중심의 AI 교육 생태계 구축 의지를 밝히고 있다. 사진=경기도의회
[한국AI콘텐츠신문 김미라 기자]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심홍순 부위원장(국민의힘·대화동·일산3동·주엽1동·주엽2동)이 ‘경기 AI캠퍼스 북부 개소식 및 경기 AI 청년 Connect’ 행사에 참석해, “북부 AI캠퍼스가 청년들의 새로운 기회가 시작되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개소식은 경기도가 추진하는 AI 인재 양성 및 산업 기반 확충 프로젝트의 핵심 거점 개소 행사로, AI 교육과 기업 연계를 결합한 ‘AI 오픈러닝 허브’의 본격적인 출발을 의미한다.
심홍순 부위원장은 축사에서 “AI는 단순한 기술을 넘어 산업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바꾸고 있으며, 이를 다룰 수 있는 역량이 곧 국가 경쟁력이 되는 시대가 되었다”고 말했다.
그는 “청년들이 AI를 통해 자신의 진로를 스스로 설계하고, 산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실무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현실적인 교육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북부 AI캠퍼스가 단순한 교육시설을 넘어, 기업·연구기관·청년이 함께 성장하는 ‘AI 산업 생태계의 플랫폼’이 되어야 한다”며 “AI 기술이 지역의 일자리 창출과 산업 전환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심 부위원장은 “AI 산업의 거점이 수도권 남부에 집중되어 있는 만큼, 경기북부의 기술 인프라 확충은 균형 발전의 핵심 과제”라고 지적하며 “고양시가 북부 AI캠퍼스를 중심으로 청년 창업, 연구개발, 기업 협력의 중심지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그는 이어 “경기도의회는 교육과 산업의 연결을 강화하고, 지역 간 격차를 줄이는 ‘AI 균형 발전 모델’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겠다”며 “청년과 기업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인공지능 혁신 생태계를 만들어가겠다”고 덧붙였다.
심홍순 부위원장은 그간 의정활동을 통해 「경기도 인공지능 미래인재 양성 조례」를 제정하고, 도내 AI교육의 법적·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또한 경기도 북부권의 인재 양성 불균형 해소를 위해 ‘AI캠퍼스 북부’ 설치를 적극 추진하며, 남북부가 함께 성장하는 ‘경기도형 AI 인재양성 생태계’ 조성의 초석을 다졌다.
이 조례는 AI 교육기관의 운영기준, 교육과정 인증, 산학연 연계지원 등을 제도화해, 청년·학생·현업 종사자까지 아우르는 지역 맞춤형 AI 역량 강화 체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심 부위원장은 “AI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기술 습득이 아니라, 사람이 기술을 이해하고 사회에 긍정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데 있다”며 “AI가 인간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도구가 될 수 있도록 사람 중심의 기술교육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경기도 북부는 아직 산업 기반이 약하지만, AI와 같은 신산업 분야에서는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여지가 크다”면서 “청년들이 지역에서 배워 성장하고, 다시 지역으로 돌아와 일할 수 있는 ‘AI 지역순환형 인재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경기 AI캠퍼스 북부’는 전용면적 500㎡ 규모로 조성된 실습 중심의 AI 교육공간으로, AI 실습교육장, 프로젝트형 학습실, 기업 연계 네트워킹존 등 실무형 교육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이곳에서는 AI 데이터 분석, 생성형 AI 활용, 로봇 제어, 산업응용 프로그래밍 등 현장 중심 커리큘럼이 운영될 예정이며, 경기남부 판교캠퍼스와 연계된 공동 프로젝트 및 스타트업 협업 프로그램도 추진된다.
경기도 관계자는 “북부 AI캠퍼스는 단순한 교육기관이 아니라 청년들이 산업 현장으로 직접 이어질 수 있는 ‘실천형 AI 허브’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며 “향후 AI 산업을 기반으로 한 지역 일자리 창출 효과도 기대된다”고 밝혔다.